2023학년도 새 학기 시작을 앞두고 있습니다. 설레는 대학생활이 시작되지만 등록금이나 생활비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도 있죠? 이런 고민을 덜어드리기 위해 한국장학재단에서 실시하는 학자금 대출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학자금대출 소개
학자금대출 정책이란? 대학(원) 및 학점은행제 학생들이 학비에 대한 걱정 없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학자금 즉, 등록금과 생활비를 낮은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 주는 정책입니다. 학자금대출 제도의 종류에는 ①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②일반 상환 학자금대출, ③농촌출신대학생 학자금융자 3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2023학년도 1학기 대출금리 제도 개선으로 약 81만 명에게 972억 원의 학자금 상환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 및 통지 기간을 고려하면 약 8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니 학자금대출이 필요한 학생분들은 등록 마감일로부터 적어도 8주 전에는 꼭! 대출신청을 하시길 바랍니다.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신청기간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신청은 1월 4일(수)부터 실시되고있으며, 신청은 학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대출 신청기간은 등록금 대출은 4월 26일까지, 생활비 대출은 5월 18일까지 가능합니다.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일정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금리

2023학년도 1학기 학자금대출 금리는 2022학년도와 동일한 1.7%입니다. 기준금리 대비 1.55% p ↓, 시중은행 가계대출 평균 금리 대비 3.64% p ↓ 낮은데요. 서민가계의 생계비 부담이 증가되지 않도록 동결하였습니다.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바뀐점
2023학년도 1학기 학자금대출은 4가지가 개선되어 시행됩니다. 첫 번째, 일반 상환 학자금대출을 학점은행제 학습자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학생, 대학원생에 한정되었던 학자금대출을 학점은행제 학습자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상환기준소득이 인상됩니다. 2023년 기준중위소득, 최저임금 인상 등을 고려하여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의 의무상황 개시여부 및 상환금액을 결정하는 상환기준소득을 2,394만 원에서 2,525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세 번째,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는 범위를 특수·전문대학원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대학원 석·박사학위 과정 이수자로 확대합니다.
네 번째, 자립준비청년인 학부생이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는 경우,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생활비 대출을 무이자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제3차 저금리 전환대출
2009.7.1 ~ 2012.12.31 일반상환 학자금대출(금리 3.9% ~ 5.8%)을 저금리(2.9%)로 전환할 수 있는 '제3차 저금리 전환대출'의 신청 및 접수도 1월 4일부터 6월 22일까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학자금대출 핵심설명서
2023학년도 1학기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2023학년도 1학기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2023학년도 1학기 일반상환 저금리 전환대출
2023학년도 1학기 농촌출신 대학생 학자금융자
개선된 2023학년도 학자금대출 제도를 통해 학생분들과 학부모님들의 학비부담을 줄이고, 평생교육원 학습자분들께서도 목표하신 바를 이룰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고객상담센터(1599-2000)에서 맞춤형 상담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장학재단
www.kosaf.go.kr
'생활정보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학자금대출 상환 종류별 대상, 금리(이자), 한도, 상환 방법 (3) | 2023.01.16 |
|---|---|
|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3차 신청,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0) | 2022.11.28 |
|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 퇴직후 미래가 걱정이라면… (0) | 2022.11.17 |
|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처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2.11.16 |
| 국민 내일배움카드란? 알기 쉽게 완벽 정리 (0) | 2022.11.16 |
댓글